|
15c 음가 추정
1. 쓰이지 않는 글자
(1) 「ㅸ」
<제자해의 설명>
“「ㅇ」을 입술소리 밑에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되는 것은, 가벼운 소리는 입술 을 잠깐 가볍게 합쳐서 목소리가 많기 때문이다.” 라는 말로써 알 수 있는 것은, [ㅸ]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음운론에서의 강도의 기능, 언어, 한국언어학회, 1990
김완진 / 국어음운체계의 연구, 일조각, 1971
강창석 / 활용과 곡용에서의 형태론과 음운론, 울산어문논집 2, 1985
송철의 / 국어의 음절구조와 자음의 분포제약에 대하여, 관악어문연구, 1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쓰는 것이 원칙이었으며, 종성이 없는 한자어의 경우 음가 없는 ㅇ을 종성에 표기함.
예) 字, 世솅宗
-중국음 중 입성자(급격하게 끝나는 음)를 표기하기 위해서 여린히읗(ㆆ)을 사용함.
예) 不相流通 1. 국어사 개관
2. 중세국어 음운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08.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는 신라어를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신라어도 중세국어와 마찬가지로 ‘평음-유기음-경음’의 삼분대립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7) 중세국어에서 모음 ‘ㅐ, ㅔ, ㅚ, ㅟ’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었다.
(18) ‘사???, 우???우??, 여름, 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젖+어미→저더미\'에서 \'ㅈ\'의 음가가 유지되지 못하는 점과 비교하여 \'아자비\'의 경우는 음절말의 \'ㅈ\'이 외파되던 시기에 이루어졌음을 추정하고 있다.
Ⅵ. 맺음말
본 논의에서는 그동안 음운론의 연구 대상으로, 혹은 음운현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