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세기 중세 국어의 모음체계는 이러한 변화 과정을 거쳐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같은 수직적 대립을 이루는 전후 대립 체계로 기틀을 잡게 되었다.
l (ㅟ) ㅡ ㅜ
ㅔ (ㅚ) ㅓ ㅗ
ㅐ ㅏ
<그림 2 현대국어의 모음체계>
Ⅲ. 결어
설축[ATR]에 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5세기 국어의 객체 높임법 또는 겸손법
1. 머리말
고등학교『문법』교과서(2010:173)에서는 높임법을 “말하는 이가 어떤 대상이나 상대에 대하여 그의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언어적으로 구별하여 표현하는 방식이나 체계”라고 한다. 높임법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두 울림소리이니, 따라서 [ㅿ]도 울림소리가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그 쓰임>
다음으로 우리말에 쓰인 예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ㄱ) 임자씨나 풀이씨 줄기의 끝소리[ㅅ]가 홀소리로 첫소리 삼은 씨끝이나 토씨가 이어날 때에 곧 홀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사(助詞)
☐ 중세국어 조사의 변이양상
☐ 중세국어 조사의 갈래
☐ 격조사
(1) 주격조사
(2) 서술격조사
(3) 목적격조사
(4) 소유격조사(속격조사)
(5) 처소격조사(처격조사)
(6) 호격조사
☐ 접속조사
☐ 보조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5c 음가 추정
1. 쓰이지 않는 글자
(1) 「ㅸ」
<제자해의 설명>
“「ㅇ」을 입술소리 밑에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되는 것은, 가벼운 소리는 입술 을 잠깐 가볍게 합쳐서 목소리가 많기 때문이다.” 라는 말로써 알 수 있는 것은, [ㅸ]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