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태소
이[것](-쪽, -분)
한[쪽](-가지, -자루)
[이]것(그-, 저-)
[한]쪽(두-, 세-)
Ⅶ. 형태소의 생산성과 의휘항의 사용빈도
생산성이 높은 형태소로 형성된 어휘 중에는 현대국어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것들도 있으나, 오직 사전에만 수록되었을 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에서와 같은 대격의 쓰임을 볼 수 없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그러나 형태와 의미가 전면적으로 분화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데, 우선 형태부터 살펴보기로 하자.
동남방언에서 대격형태소와 조격형태소는 형태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어기는 일단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로 나뉘고, 그 중 의존형태소는 어미와의 결합 여부에 따라 다시 어간과 어근으로 나뉘는 것이다.
- 국어에는 한자어계 어근이 대단히 많다. (木, 石, 手, 記 등)
단일어와 합성어
단어는 그 구성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형태소 분석
①中世어는 이어 적기(연철)로 적혔으므로 끊어 적기(분철)로 바꾸라.
②축약, 탈락된 것은 이미 없어진 것이므로 형태소나 단어로 볼 수 없다.
-불휘 기픈 남에서불휘+ㅣ로 분석해서 주격조사ㅣ를 가정할 수 있지만 표기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높임법의 체계는 기본적으로 문장과 발화상황에 등장하는 화자, 청자, 주체, 대상의 사이에서 결정된다. 그 관계는 나이나 지위등 계층적 지위의 높고 낮음, 거리감의 유무, 격식의 유무 등의 요인이 있다.
주체높임법은 행동의 주체를
국어문법론 픔사, 형태소 단어형성, 국어문법론정리(형태소, 픔사, 단어형성, 문장의 짜임, 높임법, 종결법, 사동법, 피동, 부정법, 지시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