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수관이 곧 수취의 기본단위라고 말한 저자의 말을 인용할 때, 속군현이 존재 하지 않는 진까지도 포함 시키자고 하는 것은 근거가 빈약하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든다. 군현체계와 계수관제
1. 계수관이란?
2. 『지리지』의 군현체계
3. 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8.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군현체계와 계수관제〉《한국학논총》8.
______, 1990,《고려시대 부곡제 연구》, 서울대출판부.
______, 1992,〈고려시대 외관속관제 연구〉《진단학보》72.
홍연진, 1993,〈고려전기 도제의 성립과 성격〉《부대사학》17.
원창애, 1984,〈고려중후기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계수관은 上表陳賀, 鄕貢選上등의 일을 맡아 보았다. 이런 계수관제는 현종 9년(1018) 3경 4도호 8목이 확정되면서 시행되었을 것이다.
(3)주목 중심의 도와 안찰사
고려시대에는 그 직책이 지속적인 兩界 兵馬使 및 주부군현에 배치된 외관과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체계상으로는 모두 병렬적으로 직속상관인 감사(監司, 관찰사)의 관할 하에 있었다. 다만 수령이 겸직하는 군사직(軍事職)으로 말미암아 수령간에 상하의 계통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특히 조선의 중앙집권적 지방통치체제가 비교적 잘 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제비교
Theme23. 민정문서=신라장적=호적제도일종 (755년경)
Theme24. 원효에 대하여
Theme25. 5교9산
Theme26. 도교와 도참사상
Theme27. 발해사 연구
Theme28. 발해의 위대한 왕들
Theme29. 지방세력의 대두
Theme30. 조세제도의 변천
Theme31. 교육제도
The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