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근과 정도전의
신분적 차이
두 사람의 신분차
╋━━━━━━━━━━──────────
1) 권근의 신분
• 권부(권근의 조부) : 조선의 기반이 된 정주학(程朱學)을 공부해 들여옴
• 권희(권근의 부) : 태조
|
- 페이지 59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4.06.1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도전의 사상 - 주요 저서를 중심으로
정도전은 이색의 수하에서 성리학을 배웠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부패한 현실사회를 개혁하고 권문세족의 횡포로부터 농민들을 해방시키기 위하여 새 국가체제 건설을 위한 역성혁명론에 주목하였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도전·권근·변계량 등이 대표적이다.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도 송가체시가로 볼 수 있다.
·시조: 고려시대에 우리 나라의 고유한 민족시가형식으로서 발생한 시조는 이조에 들어와서 본격적인 발전의 길에 들어서게 되었다.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07.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도전 자신을 위로하는 뜻도 담긴 것으로 느껴진다. 정도정의 저술 중에서 최초로 성리학을 옹호하고 불교를 비판한 글이기도 하다.
2) 학자지남도
이 책의 편찬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권근이 우왕 11년에 쓴 (삼봉집) 서문에 이 책이 언급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도전과 적대적 관계를 유지했는데, 예컨대 “표전문제” 때 정도전을 보내자고 주장하였다. 이로인해 그는 정도전파에 의해 탄핵을 받고 파면되었다. 1. 머리말
2. 권근과 하륜의 사상
3. 권근과 하륜의 공통점과 차이점
4. 맺음말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