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 물층의 시료 10ml와 CCl층의 시료 10ml씩 취하여 0.1M NaS2O3로 적정한다.
8. 각층의 값을 이용해 분배상수를 찾아낸다.
균일평형 (homogeneous equilibrium)
1. 수용액에서 평형상태에 있는 I2와 I3-의 농도를 정하기 위해 0.1M KI 100ml와 0.05M I2 in CCl4 50ml를 300m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평형화학),
171~174p.(6I. 활동도 효과)
2. Introduction
액체가 기체 상태로 증발되는 것이 상변화의 한 예이다. 물의 경우 액체상태나 기체상태 모두가 단일상이다. 이런 경우를 우리는 균일평형(Homogeneous Equilibrium)이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상과 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적당한 시간을 기다린다.
② 위 실험의③~⑦을 반복한다.
③ 0.1M 용액으로 적정한다.
④ 평상상수를 결정한다.
결과 처리
1. 불균일 평형에서의 분배상수
는 유기층에 들어간 티오황산나트륨 표준용액으로 구하고는 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평형의 위치가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H 2(g) + I2(g) = 2HI(g)
생성물과 반응물의 몰수가 같으므로 압력변화에 의한 영형을 받지 않는다. 1 화학평형(chemical equilibrium)
2 균일 평형(homogeneous equilibrium)과 불균일 평형(heterogeneous equilibrium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4.08.0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상된다.
균일 평형에서는 평형상수(Ka)는 I2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해야 한다. 즉, I2의 농도는 증가하나 I-와 I3-의 값이 거의 일정하여 KI농도가 일정(반응물이 더 많이 남기 때문이다.)하다. 결국 평형상수 값은 감소한다. 그러나 실험결과 Da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