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림속의 그려진 떡은 보기는 해도 먹을 수 없다는 것으로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실제로 이용하거나 차지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강한 사람들의 싸움에 끼여서 애매하게
약한 사람이 피해를 본다는 뜻입니다.
\'\'자와 똑같이 생긴 낫을 앞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차
가는 말에 채찍질 한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곱다
가재는 게 편이다.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다
개천에서 용나다
그림의 떡이다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낫 놓고 ㄱ 자도 모른다
누워서 떡먹기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림(2011), 고사성어 속담 사전, 지경사
○ 요네하라 마리 저, 한승동 역(2012), 속담 인류학, 마음산책
○ 정현수(2011), 명언명구선, 토트
○ 편집부(2002), 한자성어, 시사문화사 Ⅰ. 한글 차 명언
Ⅱ. 한글 차 고사성어
1. 차래지식(嗟來之食)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속담」 선영사
원영섭 엮음 「우리 속담 풀이」세창 출판사
재미있게 풀어 쓴 한국의 속담 / 이상사 / 심후섭 / 1999년 1월 5일
<<수수께끼-참고자료>>
최상도 저 「韓國의 수수께끼」서문당, 1973.
조문현 글, 강덕선,김나나 그림 「말놀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속담에서 토끼를 보호의 대상으로 보거나 또는 그 가치를 존중하는 모습은 찾아 볼 수 없다.
(2) 한중 속담 비교
中之。/ 그림의 떡. (그림의 떡)
拿著蛋王石頭上。/ 계란으로 바위치기이다. (계란을 들어 바위를 치다.)
人是鐵飯是鋼一頓不吃餓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7.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