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근대국어의 사동 표현
직접 사동문
: 용언 어간에 사동 접미사
‘-이, 히, 리, 기, 오, 우, 구, 추’가 결합하여 실현됨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9.04.0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에서는 동음어, 동의어. 다의어 등 복합 의미 구조가 많이 발견되며, 어휘의 의미들은 서로 대립하면서 어휘(의미)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현대국어의 경우, 차용어는 그 어적이 실로 다양하다. 근대에 이르기까지 유입되어 정착된 한자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8.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교격조사 다양화.
‘ㅎ’곡용 명사들 17세기 비교적 前代의 모습,
후반 두음‘-ㅎ’를 모두 탈락 현대어와 같게 Ⅰ. 서론
Ⅱ. 본론
1. 체언, 곡용, 활용
2. 높임 표현
3. 종결법
4. 부정표현
5. 시제와 서법
6. 피동과 사동
Ⅲ. 결론
한국어의 문법 체언, 근대 한국어 곡용, 한국어의 문법,근대 한국어,체언, 곡용, 활용,높임 표현,종결법,부정표현,시제와 서법,피동과 사동,
|
- 페이지 6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4.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대국어
예) 자음의 음운변화
·경음화
- 어두자음군의 경음화
- 평음의 경음화: 구짓다 꾸짓다
·격음화 - 풀무, 니르켜, 탓
·구개음화 - 잡지못힝엿도다, 업더져
예) 모음의 음운변화
·원순모음화 - 믈 물, 블 불
·전설모음화 - 아칭 아침, 즐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피동 접미사로 경음화(X)
19. 활음조 : 희노(喜怒) → 희로 / 마냥, 지이산(智異山)>지리산
20. 호전 작용 : 반짇고리, 삼짇날, 잗주름, 잗다듬다, 잗다랗다
21. 부정 회귀 : 구개음화의 역작용, 질쌈>길쌈
22. 두음 법칙 : ① ‘ㄹ’ 제약 - 老
|
- 페이지 6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