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근대국어의 사동 표현
직접 사동문
: 용언 어간에 사동 접미사
‘-이, 히, 리, 기, 오, 우, 구, 추’가 결합하여 실현됨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9.04.0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에서는 동음어, 동의어. 다의어 등 복합 의미 구조가 많이 발견되며, 어휘의 의미들은 서로 대립하면서 어휘(의미)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현대국어의 경우, 차용어는 그 어적이 실로 다양하다. 근대에 이르기까지 유입되어 정착된 한자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8.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대국어
예) 자음의 음운변화
·경음화
- 어두자음군의 경음화
- 평음의 경음화: 구짓다 꾸짓다
·격음화 - 풀무, 니르켜, 탓
·구개음화 - 잡지못힝엿도다, 업더져
예) 모음의 음운변화
·원순모음화 - 믈 물, 블 불
·전설모음화 - 아칭 아침, 즐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에서는 사동주의 직접 행동이나 간접 행동을 나타낼 수 있는데, 장형 사동에서는 사동주의 간접 행동만을 나타낸다. 단형 사동인 가)는 사동주인 ‘재규’가 아기에게 직접 우유를 먹도록 하였다거나, 간접적으로 우유를 먹게 하였다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따라 이렇게 저렇게 쓰인다고 보는 견해.
중립 동사로 설정 ‘안기다, 보이다, 잡히다, 업히다, 끌리다, 뜯기다’등을 별종의 동사로 처리. 국어 문법론
7.4.3. 시간 표현
7.4.4.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
7.4.4.2 <사동법>종의 동사로 처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