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여 "대구는 율시에 있어 필수 조건"이며 "율시에서는 중간의 두 개 연 즉 제 3행과 제 4행, 제 5행과 제 6행이 반드시 대구를 이루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1. 들어가는 말
2. 근체시란?
3. 근체시의 종류
4. 근체시의 형식과 규율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표적인 시인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1) 근체시(近體詩)란?
2) 근체시의 규율
3) 근체시의 형식과 규율
① 음절수와 시행의 고정화
② 압운(押韻) ③ 평측법(平仄法)
④ 대우법(對偶法)
⑤ 기승전결 4) 근체시의 대표적인 시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구를 이루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라도 어느 곳이든 2개 이상의 대구가 짝을 이루어야만 한다. 절구에 있어서는 1구와 2구, 3구와 4구가 대구를 이루기도 하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1. 근체시 정의
2. 명칭의 구분
3. 형식
4. 부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의 구수도 일정하지 않으며 구성상의 규칙도 없는 시이며 근체시는 5언절구, 7언절구, 5언율시, 7언율시 등의 일정한 형태를 띄며 압운, 평측, 등의 규칙을 지키는 시이다. 두보의 시 망악 - 고체시
두보의 시 절구 - 근체시
형식비교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라고도함
1) 잠 삼(岑參) (715-770)
2) 고 적(高適) (702?-765)
3) 왕창령(王昌齡)(698-757)
4) 이 기(李頎)(690-751)
5) 최 호(崔顥)(704 - 754)
☞시선 이백(李白)
☞시성 두보(杜甫)
7. 당시의 구분과 형식
§근체시의 출현 §
§근체시의 형식§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