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어의 품사별 분포는 명사가 상대적으로 많은 우리말 분포로 볼 때, 동사, 형용사 등 주로 용언에서 많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은 月印千江之曲이나 訓蒙字會와도 비슷한 통계였다.
다만 명사 중심으로 된 漢字語인 佛敎語彙가 제외되었음이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념
Ⅲ. 화음계몽언해의 어휘 분석
1. 어기조사
1) 열
2) ?
2. 名詞
1) 吸(ㅁ+荒)
2) 各人
3. 動詞
1) 說
2) 惱
3) 勾
4) 是
Ⅳ. 금강경삼가해의 어휘 분석
Ⅴ. 계림유사의 어휘 분석
1. 계림유사(?林類事)
2. 어휘상의 특징
참고문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강경삼가해, 2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5. 정·관·법·언·학… 이건희의 넓은 품 :\'회장 지시사항\' 발언록 분석 각계 인사들 로비 구체적으로 지시하고 노조 설립에 대응 /김영배 2007 한겨레21. 통권684호 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강경삼가해, 영가대사증도가남명천선사계송언해, 불항심경언해, 영험약초가 간행되었다. 그 중에서 불정심경언해와 영험약초는 동국정운의 한자음 표기를 보여주는 최후의 불경 언해이다.
③ 내훈
- 성종 6년, 인수대비가 부녀 교육을 위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6.08.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강경삼가해는 한자에 한글 주음을 사용하였다.
훈민정음의 ‘합자해’에는 세종이 국한문 혼용을 조화시켜 병용한 이유가 드러나 있다.
16. ‘한글’의 유래에 대하여
‘한글’의 ‘한’의 의미로는 ‘일(一), 대(大), 정(正)’을 들 수 있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0.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