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다.
[]者, 濕也。
색자 습야.
맥이 깔깔함은 습증이다.
身體煩疼, 風也。
신체번동 풍야.
몸이 화끈거리고 아픔은 풍이다.
不能轉側, 濕也。
불능전측 습야.
몸을 옆으로 돌릴 수 없음은 습이다.
乃風濕相之身體疼痛, 非傷寒骨節疼痛也。
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陰邪, 故見面目靑, 身痛如被杖之寒證。
음독종속음사 고현면목청 신통여피장지한증.
음독은 마침내 음사에 속하므로 얼굴과 눈이 푸르게 나타나고 몸이 곤장을 맞은 듯한 한증 통증이 있다.
二證俱咽喉痛者, 以此證乃, 邪從口鼻而下入咽喉,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부변증 논치의 관점으로 공부하는 법
4. 입문상한의 방식으로 공부하는 법
5. 按方類證의 연구방법
6. 按症類證의 硏究方法
7. 按藥類方의 硏究方法
8. 按法類證의 硏究方法
9. 금궤요략
10. 상한론에 대한 후대의 해석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한론>과 <금궤요략>이 원전으로서 존중되었다. 이것들은 「경방(經方)」이라고 불리는 임상에 입각한 실용서인데, 각종의 병증(病證)과 적용돼야 할 처방이 3陰 3陽의 유형을 바탕으로 하여 기술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경락은 별로 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