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정책에 의해 형성된 신조어에 대한 통일 후의 어휘정책은 수용 여부에 관한 것이 주된 과제일 것이다. 따라서 수용 가능성과 수용 방안의 원칙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2. 통일 후 남북어(南北語)의 수용 방안
통일 후 남북한 언어 수용 방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한 언어의 차이 (1)(2)(3)〉, 새국어 생활. 국립 국어분석원.
김민수. 1996.〈남북한 언어의 차이(4)〉, 새국어생활. 국립 국어분석원.
김희진 외. 1997.《남북한 언어 분석》. 박이정 1. 언어 의식
2. 언어 교육
3. 언어 규범
4. 통일을 앞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한의 언어 차이
인물화 - 사람그림
한복 - 조선옷
볼펜 - 원주필
노크 - 손기척
나이프 - 밥상칼
레코드 - 소리판
보트 - 젓기배
소시지 - 고기순대
잼 - 과일단졸임
테너 - 남성고음
펜싱 - 격검
컵 - 고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9.04.0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차이
사이 시옷 사용
이[치,이와의 합성어
‘사랑니, 머릿니\'
남한이 북한에 비해 더 많이 띄어 쓴다.
사이시옷 사용하지 않음
원음 표기
이[치/이]와의 합성어
사랑이, 머리이
띄어 쓰기 적음
Ⅷ. 향후 남북한언어의 수용 방안
통일 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8.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는 민족의 재통합이라는 대 명제를 놓고 볼 때 매우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통일을 위해서는 다른 문제들도 많겠지만, 언어의 차이 자체가 원만한 의사소통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될 수도 있다. 그뿐 아니라 통일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