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4.6. ‘맛있다, 멋있다’의 발음
4.7. 설측음화와 설측음의 비음화
제5장 남북한 어문규범 통일 방안 30
5.1. 남북한 맞춤법 통일 방안
5.2. 남북한 띄어쓰기 통일 방안
5.3. 남북한 문장 부호 통일 방안
5.4. 남북한 표준 발음법 통일 방안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차이
(7) 기타 차이들
4. 띄어쓰기의 차이
(1) 하나로 묶어지는 덩이
(2) 부속적 단어는 띄어쓰기를 원칙으로
5. 발음의 차이
(1) 낱낱 소리의 발음
(2) 두음법칙과 관련해서
6. 어휘의 차이
7. 문장부호법
참고 문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여전히 띄어쓰기까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과는 차이를 보이는 태도라 하겠다. 남북한 국어 맞춤법 개정의 과정 개요 (언어)
1. 들어가며
2. 남북 맞춤법 개정의 과정
3. 남한의 맞춤법 개정 과정
4. 북한의 맞춤법 개정 과정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3.08.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한 띄어쓰기 규정의 비교,북한의 어학혁명,북한언어연구회,도서출판 백의
11. 신창순(1992), 국어 정서법 연구,집문당
12. 안병희 이희승(1989,고친판1994), 한글 맞춤법 강의,신구문화사
13. 안주호(2003), 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탐구, 한국문화사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장형
1) 강화도 조약은 조선이 외국과 최초로 맺은 ( )조약이었으나, 일본의 침략의도가 담긴 ( )조약 이었다.
2) ( )은 정치, 경제, 사회 등 전반적인 면에서 조선의 전통적인 제도를 새롭게 변화시키고자 한 것이었다.
(2) 불완전 도표형
다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