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4.6. ‘맛있다, 멋있다’의 발음
4.7. 설측음화와 설측음의 비음화
제5장 남북한 어문규범 통일 방안 30
5.1. 남북한 맞춤법 통일 방안
5.2. 남북한 띄어쓰기 통일 방안
5.3. 남북한 문장 부호 통일 방안
5.4. 남북한 표준 발음법 통일 방안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규범집\'의 내용이다. 남한의 어문 규범은 \'한글 맞춤법\'이 총칙, 자모 자모(字母) : 음절의 근본이 되는 글자
, 소리에 관한 것, 형태에 관한 것, 띄어쓰기, 그 밖의 것, 문장 부호로 되어 있고, \'표준어 규정\'이 표준어 사정 원칙과 표준 발음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을 제정공포하면서 이루어졌다. 이 개정으로 한글 자모에 대한 규정, 세칙의 부분적인 사항, 문장부호의 삽입에서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북한의 세 번째 맞춤법 개정은 1966년 6월 공포하고 7월에 출판, 공포된『조선말 규범집』에서 비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차이
(7) 기타 차이들
4. 띄어쓰기의 차이
(1) 하나로 묶어지는 덩이
(2) 부속적 단어는 띄어쓰기를 원칙으로
5. 발음의 차이
(1) 낱낱 소리의 발음
(2) 두음법칙과 관련해서
6. 어휘의 차이
7. 문장부호법
참고 문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쌍시옷) ㅉ(쌍지읒)
ㄱ(기윽,그) ㄴ(니은,느) ㄷ(디 Ⅰ. 서론
Ⅱ. 본론
1. 북한의 언어관과 언어 정책
1) 북한의 언어관
2) 북한의 언어 정책
2. 북한의 언어규범
1)남북한의 맞춤법 규정 비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0.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