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원고사」에서는 허봉사의 해몽에 춘향이 맹낭한 말을 말라 하니, 判數는 화를 내며 대길할 것티니 두고 보라고 한다. 판수는 복채로 춘향의 금비녀를 받아가면서도 보태어 주어야할 처지에 남이 알면 챙피하다고 한다.
「完板本 別春香傳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령 방자 산천경계), #7(이도령 방자 수작), #10(이도령 춘향과 수작), #20(주인상 사설), #69(허봉사의 해몽), #70(어사와 춘향 옥중 상봉), #71(춘향의 당부), #72(옥에서 귀로), #82(춘향 대령), #83(기생점고) 등이다.
둘째, <남원고사> = <동경대본
|
- 페이지 7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령 방자 산천경계), #7(이도령 방자 수작), #10(이도령 춘향과 수작), #20(주인상 사설), #69(허봉사의 해몽), #70(어사와 춘향 옥중 상봉), #71(춘향의 당부), #72(옥에서 귀로), #82(춘향 대령), #83(기생점고) 등이다.
둘째, <남원고사> = <동경대본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신들이 오히려 화를 입자 변사또에게 사실과 다르게 변사또를 모함하여 그 이야기를 후대에 전하겠다고 한다. 그래서 지금 우리가 알고있는 춘향전이 되었다는 게 이 소설의 이야기이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제일먼저 우리의 상식을 깬 점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떠나면 그만이라고 하며 과실 상자를 가져오니 과실이 한 개도 없다. 이에 춘향은 사설조로 도령과 함께 있을 때의 풍족했던 생활과 지금의 외로운 현실을 자탄조로 길게 노래 부른다. <교주 춘향전>
(남원고사) 춘향 공방 사설
<비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7.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