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섭거부는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한다.
3) 절충설
동 조항은 단체협약으로만 체결하면 무효이나 총회, 대의원회의 의결로 결정하면 유효하다는 견해이다.
3. 검토
연합단체인 노동조합은 제3자가 아니므로 연합단체에의 위임금지는 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체교섭권을 침해하는 조항으로 보아 무효로 본다. 따라서 복수노조일 경우 이 조항을 이유로 타 노조와 교섭을 거부하는 것은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
④ 3자위임금지조항 : "교섭권을 위임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조항으로, 본 조항은 노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동조합과 단체교섭을 한 다음 단체협약을 체결하고 조합원들은 위 협약에 따라 아무런 이의 없이 취업규칙을 작성하여 노동관청에 신고하여 온 점을 종합하면 위 원고조합의 정관에 규정한 단체협약에는 노동조합법상의 단체협약이 포함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동조합을 대표하는 자와 그 조합원으로 구성하여야 한다”(제6조 제2항)고 하여 마치 교섭권의 위임을 봉쇄하는 듯이 표현되고 있다. 이는 민법노동법상의 위임의 법리와 관련하여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
놀라운 것은 이 법이 단체협약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노동3권에 관한 법적쟁점과 해결방안
1. 근로관계의 이중성과 노동3권의 형해화
2. 단결권에 관한 법적쟁점
3. 단체교섭권에 관한 법적쟁점
4. 단체행동권에 관한 법적쟁점
5. 노동3권 보호를 위한 법적 방안
Ⅵ. 불법파견의 법적규율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02.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