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차 등에 들어있는 카페인을 분리해보는 실험이었다. 본래 실험에서는 이염화메탄을 이용하여 카페인을 추출해야 했는데 독성이 있어서 대신 MC용액을 사용했다. MC용액은 차 용액의 1:1 비율만 안 넘게 넣으면 되었고, 추출된 카페인의 양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④ 스파징이 끝나면 기기판의 Flow/Rate를 선택하여 유속을 0.1ml/min씩 올려준다.
⑤ 컬럼연결구 부분에 용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확인하면 컬럼의 윗부분을 연결한다.
⑥ 컬럼 윗부분 연결 후 압력을 확인하면서 컬럼의 아래쪽에 이동상이 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페인을 순수한 상태로 분리하는 것이다.
실험에서 뜨거운 물로 카페인을 추출할 때 CaCO3를 함께 넣는데 그 이유는 차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산 같은 불순물을 염기성인 CaCO3로 중화 시켜 물에 잘 녹는염으로 제거하여 추출시 불순물이 포함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카페인의 색상을 관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3. RESULTS
3.1 Raw data
Table 2. raw data
caffeine 추출
녹차 tea bag에 들어있는 caffeine의 양(g)
0.0432
일구플라스크의 무게(g)
130.385
일구플라스크+추출한 caffeine의 무게(g)
130.423
추출한 caffeine의 무게(g)
0.038
caff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9. 실험 고찰
이번 실험에서는 카페인을 추출하고 분리하였다. 실험 결과 적은 양의 카페인이 나와서 조금 당황했다. 그리고 카페인의 색도 실제 카페인과 달랐다. 실험결과 녹차 색과 흰색이 섞여있었으므로 흰색은 실제 카페인이고, 녹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8.12.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