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의 재능은 인정했으나 인간됨이 유약하다고 평가했다.
논어에서 공자가 염유를 꾸짖는 장면은, 염유가 품었던 호학과 치인의 뜻이 무엇이었는지를 보여준다. 염구가 말하였다. “저는 부자의 도를 좋아하지 않는 것이 아니나 힘이 부족합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0.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季氏第十六
계씨 제 16
洪氏 曰此篇은 或以爲齊論이라.
홍씨 왈 차편은 혹이위제론이라.
홍씨가 말하길 이 편은 혹은 제나라 논어라고 한다.
凡十四章이라.
범십사장이라.
모두 14장이다.
1. 季氏將伐臾러다.
계씨장벌천유러다.
계씨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논어강의 上, 씨앗 뿌리는 사람, 2002
안병욱, 에세이 논어 인생론, 자유문학
이수태, 논어의 발견, 미래인력연구센터, 1999
표문태·주해, 논어, 서울 : 현암사, 1966
孔子지음, 김형찬 옮김, 논어이야기, 홍익출판사 Ⅰ. 개요
Ⅱ. 논어의 개념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1.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논어, 그 책에 대한 이해와 논어 위정편에 대해 살펴보았다. 앞서 본 위정편은 비록 그 방대한 공자의 말씀 중 일부분에 불과하지만, 이를 통해 우리는 공자의 사상과 철학, 그리고 그의 삶에 대해 조금이라도 이해해 볼 수 있었다. 논어는 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8.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는, ‘예’라는 번잡한 형식을 왜 따라야만 하는가에 대해 설득력 있는 철학적 의미를 찾아서 사람들에게 설명해준 데에 있었다.
공자가 제기한 예의 정신을 단적으로 얘기하면, ‘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인’이란 논어에서 가장 중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7.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