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陽江頭夜送客 심양강 나루에서 손을 밤에 보내려니
楓葉荻花秋瑟瑟 단풍잎 갈대꽃에 가을 바람 쓸쓸하다
主人下馬客在船 주인은 말 내리고 손은 배에 타고
擧酒欲飮無管絃 술을 들어 마시려니 음악이 없네
醉不成歡慘將別 취해도 즐거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5.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나라의 시인들이 이 절망을 극복하고 적극적인 인생태도를 시의 골격으로 삼은 것은 시대의 흐름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기에 세계적으로 이름이 잘 알려진 시인은 아니지만 자연파를 대표하는 시인으로써 맹호연은 그의 삶을 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 전편을 내용별 52부로 분류하여 우리말로 번 역한 시집으로 원명은 ‘분류두공부시언해’이다. 초간본으로 활자본 전25권이 간행되었으나, 임란으로 1~4권과, 11~14권 등이 소실되어 현재 전하지 않고 있으며, 권5는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나라의 사람들보다도 못한 것 같기 때문이다. 1. 당의 흥망성쇠와 장안의 발전
2. 당의 정치, 경제, 사회제도
3. 당대의 사상과 종교
4. 당시의 발전과 시인들의 저항
5. 소설의 발달
6. 당삼채와 백자, 청자
7. 경서 해석의 통일
8. 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나라 시인 이백을 말한다. 그는 채석강에서 뱃놀이를 하다가 술에 취해 강에 비친 달을 잡으려다 빠져서 고래를 타고 하늘에 올라가 신선이 되었다고 한다. 고래는 선계로 들어가는 동물로 이백 스스로도 ‘고래 타고 온 손님’, 즉 기경객(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