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으로 함)에 근거하였다. 당부하지수는 사용가능한 탄수화물(ex. 탄수화물 - 식이섬유)의 양을 그람단위로 하여 100을 나누고 당지수로 곱한 수치이다.
당부하지수가 20 이상이면 높고 11~19 이상이면 보통 10 이하이면 낮다고 한다. 당부하지수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높더라도 그 음식에 탄수화물 자체가 적게 들어 있으면 그 영향은 미미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GI에 그 음식에 함유된 탄수화물의 양을 곱한 ‘당부하지수’(Glycemic Load : GL)라는 개념이 관심을 끌고 있다. GI이 식품에 함유된 당질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수보다 당부하지수가 더 의미 있으므로, 아침식후 공복감을 감소시키고, 당-인슐린 대사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낮은 당부하지수의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제식보다 전체식을 통한 충분한 식이섬유섭취는 공복감 감소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2.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수보다 당부하지수가 더 의미 있으므로, 아침식후 공복감을 감소시키고, 당-인슐린 대사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낮은 당부하지수의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제식보다 전체식을 통한 충분한 식이섬유섭취는 공복감 감소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2.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수를 100으로 보았을 때 당지수가 85 이상인 식품은 혈당을 빨리 높이지만 당지수가 30 이하인 식품은 혈당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당부하지수(glycemic load. 탄수화물 양과 당지수를 고려해 혈당을 측정하는 지수-옮긴이)에는 이런 요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15.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