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진왜란시 대명외교-청병외교를 중심으로-』, 國史館論叢, 1990.
양재숙, 『임진왜란은 우리가 이긴 전쟁이었다. :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재조명』, 가람기획, 2001.
리우바우첸, 『임진왜란시 명 파병의 실사에 대한 일고』, 성균관대학교, 200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진왜란
1) 왕세자 책봉과 ‘분조’활동
2) 즉위를 향한 멀고도 험한 길.
3. 왕권강화의 의지와 멸망, 그리고 집착
1) 어머니를 폐하고 동생을 죽인 패륜군주다?!
2) 광해군이 궁궐공사에 매달린 까닭
4. 공세적인 대명외교
5. 권력 16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3.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진왜란 시기 조선과 명의 문화교류」.『아세아문화연구』Vol 6. 2002. pp.15-41
김지욱.「조선조 광해군의 국방정책과 그 교훈」. 『정신전력 연구』제 32호. 국방대학교안보문제연구소. 2003. pp.117-138
이은숙.「광해군의 실리외교 : 광해군의 자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충돌이전의 삼국관계
1. 명의 대여진 정책
2.조선의 대여진 정책
3. 조선과 후금의 관계
4. 명, 후금 충돌과 조선의 태도
1.후금의 대면선전포고
2. 명의 파병요청
3. 광해군의 정책
5. 맺으며-광해군 외교의 의의
*참고문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명 외교는 실리 외교이며 경제적 문화적 소득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 당시 명나라는 건문제와 성조간의 대립으로 오히려 건문제는 국교 정상화를 열망하였고 태종과 친교가 있는 성조 즉위 후에는 급격히 관계가 호전되었다. 초기에 명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