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때문에 의미 해석에 지장이 없으며, (20ㄹ)도 마찬가지다. 여시에서 ‘자기’는 1인칭의 ‘나(내)’와 치환될 수 있는 성격이다. 1. 머리말
2. 대용과 조응의 개념
3. 대용 표현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그 전개
4. 대용체언 연구의 주요 논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5.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체언도 수식할 수 있기 때문에, 체언을 수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관형사를 부사라는 품사에 묶을 수 있다는 것이다. 관형사의 고유 기능은 후행하는 체언을 수식하는 것인데 바로 이 기능 때문에 수식언 안에서 부사와 분리될 수 있는 것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3.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체언 앞에 놓여서, 그 뜻을 꾸며주는 단어들
성상 관형사 : 어떤 대상의 성질이나 상태의 의미를 나타내는 관형사
지시 관형사 : 특정한 대상을 지시하여 가리키는 관형사
수 관형사 : 어떤 대상의 수를 나타내는 관형사
종류
해당 단어
성상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1.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