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화서(圖畵署)
2. 도화서의 화원(畵員)과 그 대우
3. 화원 가문
4. 자비대령화원(差備待令畵員) 差備는 오늘날 '차비'라 읽는 것이 표준어로 되어 있다. 그러나 당시의 궁중 발음에 따르면 거친 소리를 피해 '자비'로 읽었기 때문에 이에 따르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서론
Ⅱ. 도화서의 변화와 화원의 양성
1. 도화서의 변화
2. 화원의 취재와 처우
Ⅲ. 화원의 활동
1. 국가적 차원의 활동
2. 개인적 차원의 활동
Ⅳ.결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화서
조선 시대 그림 그리는 일을 담당하던 관청. 예조에 소속된 종6품 아문(衙門)으로 처음에는 도화원으로 불렸으나, 1471년(성종 2년) 도화서로 개칭되면서 격하되었다. 도화서의 수장인 제조를 예조판서가 겸직하도록 하였고, 실제 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5.03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화서별제(圖畵署別提) 도화서별제(圖畵署別制) - 도화서를 관장하는 2인의 실직(實職)관리 명칭
를 지냈다. 전통적인 북종화법을 따르면서도 청으로부터 유입된 서양의 화풍을 수용하여 동물을 소제로 한 작품들 속에서 입체적인 음영법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금 늦은 18세기 후반에 활동한 조선 후기 대표적인 화가이다. 도화서(圖畵署)의 화원(畵員)으로서 높은 벼슬을 지냈다. 색채감각이 돋보이는 산수 화 작품을 남기기도 하였지만, 한량과 기녀를 중심으로 남녀간의 낭만이나 애정을 다룬 풍속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