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동은 어디에 기록되어 있나?
2. 동동의 창작시기는 언제일까?
3. ‘동동’의 명칭에 대하여...
4. 고려가요의 작자 및 향유층은 누구인가?
5. 동동의 특징에 대하여... - 형식, 소재, 내용 전개
6. 동동의 구조에 대하여...
7. 내용분석
참고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7.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쌍화점의 회회(回回)아비, 삼장사(三藏寺)의 사주(社主), 우물 용, 술집아비이다.
③ 배역을 나누어서 노래를 불렀으리라는 것까지는 가능한 추정이나, 갈등이 제시되고 해결되는 연극적인 전개를 갖추었다고 하기는 어렵다.
④ <동동>은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록에 따른 몇 가지 논란
4. 동동무
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동동’은 민요에서 출발하여 궁중으로 이입되는 과정을 거친 고려가요로서 춤과 노래가 함께 어우러져 공연된 연희였다. 고려 때부터 구전되어 오다가 조선조에 「악학궤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록이 남아있다.
가명인 ‘동동’은 작품의 후렴구에 보이는 ‘아으 동동다리’에서 온 것이다. ‘동동’은 <사모곡>의 ‘위덩더둥셩’이나 <정읍사>의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등의 후렴구처럼 악기의 구음으로 추정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동’을 악기의 구음으로 추정할 수 있다. 즉 動動을 부를 때 반주음인 북소리의 구음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성호사설』의 기록도 ‘동동’을 악기의 의성으로 보고 있다. 즉 倡優(창우)가 춤의 절주에 맞춰 부르는 북소리의 音聲象徵(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