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격대의 조직
2. 민생단문제
3. 동북인민혁명군 제1군 독립사의 건립
4.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 독립사의 건립
5. 미혼진회의와 김일성
6. 보천보 침공 작전
7. 동남부 치안숙정공작과 김일성부대
8. 동북항일연군의 마지막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일성이 죽자 권력을 승계하였다.
1997년 당 총비서가 되었고, 1998년 최고인민회의 10기 1차 회의에서 헌법 개정을 통해 주석제를 폐지하고 권한이 더욱 강화된 국방위원장에 재추대되었다. [동북항일연군]
[김형직]
[김일성]
[김정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일성과 김정일」
이명영「金日成列傳」
허동찬「金日成評傳」
박성수「獨立運動史의 諸問題」
국사편찬위원회「한민족의 독립운동사」열강과 한국독립운동. I. 서 론
II. 민족주의 노선의 독립군의 활동
III. 동북항일연군의 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일전신을 북돋아주었다. 남한에서는 가짜김일성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지만 이는 이치에 맞지 않는 말로서, 김일성의 항일활동 경력에 대해서는 인정해야 한다. 하지만 김일성의 거짓된 주장은 한국 공산주의와 한국 혁명정신의 전통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북항일연군은 하바로프스크에서 소련 적군 산하 ‘제88특별여단’으로 편성되었다. 이 때 88여단에 들어간 동북항일 연군의 총 수는 1944년 9월 8일 현재 1007명, 그 중 중국인이 376명, 나나이 족과 북방계가 356명, 러시아인이 175명 조선인은 100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