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덩 | ∼ | | | | | | | | | | |
삼도 설장구 가락보 합주용 編著; 96 首杖鼓 趙基弼 1. 다스림(다스름)
2. 굿거리(풍년질굿, 풍류굿, 늦은삼채)
3. 덩덕궁이(삼채, 자진모리)
4. 동살풀이(오방진)
5. 휘모리(이채, 두마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씩달라질 수 있다. 굿의 상황, 무녀의 가창능력에 따라 약간씩의 가감이 나타나는 것이다. 참고로 천씻김굿의 장단 구성을 굿거리별로 정리해 보기로 한다.
⑴안당
\'앙와 임금아∼\'(동살풀이)
⑵조상굿[선부리]
성주·조상맞이(진양)-당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풀이권·살풀이권·동살풀이권으로 나누어 부른다. 도살풀이권인 경기지방에서는 도살풀이(섭채)와 몰이를 주로 하여, 발버드래·가래조·삼공잡이 등의 장단이 독특하게 쓰인다. 살풀이권인 충청도와 전라북도지방에서는 살풀이장단 이외의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살풀이
강원도,경상도민요토리
함경도
장고,제금(자바라), 양푼
타령,잦은타령
동부 강원도와 비슷
긴통절
서도
평안도
안댁굿(재수굿)
①당울림 ②칠성굿 ③타살굿 ④조상굿 ⑤영정굿 ⑥쇠열이 ⑦감응굿 ⑧대감굿 ⑨서낭굿 ⑩제석굿 ⑪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살풀이, 구정놀이, 휘몰이까지 일관된 가락을 갖고 있으며 빠르기의 변화 및 소리의 강약으로 장단의 조율과 가락의 유연함과 매끄러움으로 감정을 풀어나간다. 진도북춤은 북소리의 강렬함과 장구의 유연하고 다양한 성격을 동시에 가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