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문화에 접목해 나갈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목 차
1.포스트모던 연극의 등장
2.포스트 드라마 연극
3.로버트 윌슨의 삶
4.이미지 연극 (The Theatre of Image)
5.꼴라쥬 기법
6.의미의 모호성, 다의성
7.등장인물, 배우
8.귀머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름 아닌 연극 원형을 찾아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제의로서의 연극 등을 제창한 피터 브룩 Peter Brook (신성극), 율리안 벡 Juilian Beck (living theatre), 리챠드 세히너 (제의극), 새로운 퍼포먼스를 주창하는 로버트 윌슨, 리처드 포먼 (이미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10.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극의 개념을 출발시킨 공헌을 한 톰 오호간(Tom Ohargan)을 선두로 피터 브룩(Peater Brook)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가난한 연극의 그로코프스키와 그 개념을 잇는 로버트 윌슨과 리처드 포먼등 이미지 연극을 만드는 사람들, 마이클 커비와 같이 구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미지를 기록하고 그것들에 맞는 형식을 찾아서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데 어떤 추동력을 제공하는지 관찰할 것.
* 예술가/ 연구자가 연출자의 역할
-확장된 극화, 형식을 갖춘 연극 공연으로 특정 집단과 작업할 수 있음. 글이 영상으로 기록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3,860원
- 등록일 2013.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극을 섞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 연극에 관한 논의는 주로 60∼80년대의 미국의 실험극 이론인 행위 이론과 보다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이런 움직임의 이론적 대변인은 리차드, 셀크너라고 할 수 있으며 로버트 윌슨,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5.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