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론
9.길리건 : 여성주의접근
10.나딩스 : 여성주의접근, 배려윤리
11.인격교육론 : 전통주의적 인격교육론(위인, 베닝가), 공동체주의적 인격교육론(왓슨), 통합적 인격교육론(루스낵, 리코나)
12.리코나 : 통합적 인격교육론
13.공동체주의적
|
- 페이지 45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23.04.04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만에 가까운 회원들로 구성된 ‘인격 강조 연맹’도 결성된다. 신-인격교육운동에 큰 이론적 기여를 하고 있는 사람은 콜버그의 제자이기도 한 리코나이다. 그는 덕과 인격의 개념을 정교화 하는 한편, 콜버그가 제기한 도덕의 수직적 발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론과 비판적 사고의 강조는 전통적 가치의 내면화를 선 호하는 학부모, 정책결정자들을 당혹시킴
③내용이 공허한 인지적 프로그램의 추상적 이론적 성격은 소외감 증폭시킴
통합적 인격교육
-리코나
1.인격교육의 철학적 기초 - 인격과 덕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민도 많이 해봤는데 그것은 무척 어려웠다. 새삼 발문의 중요성과 함께 발문을 하는 교사로서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발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는 토머스 리코나의 ‘인격교육론’을 참고하였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9.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론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고, 실제에 구체적인 뿌리를 내리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다.
참고문헌
ⅰ. 리코나, 박장호·추병완 옮김(1997), 인격 교육론, 서울: 백의
ⅱ. 이석호 외역(1994), 도덕·가치 교육의 교수 모형, 서울 : 교육과학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
콜버그
가치명료화(정의적 영역) : 그들이 옹호하고 소중히 하는 가치를 스스로 발견하게 함
가치교육에 대한 반성적 접근
인격교육론
고려모델(배려윤리) =인본주의+행동주의
뉴만의 사회행위접근(행동적 접근)
통합론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을 통해서 힘을 부여받아야 한다.
) T. Lickona, 박장호·추병완 역, 인격교육론, 서울: 도서출판 백의, 1998, pp. 172-173.
한편 리코나는 학교라는 도덕공동체의 울타리 안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도덕교육의 전략들에 관해 다음과 같은 입장을 취하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에 있어서의 역할 모델, 배려의 제공자로의 역할을 잊지 않아야겠다.
《 참고 문헌 》
< 단행본 >
최정호 공저(2001. 11) 『20세기 세대의 가치관 연구』, 새천년준비위원회
토머스 리코나(1998) 『인격 교육론』, 서울: 도서출판 백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격을 기르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유병열, 『도덕교육론』, 양서원, 2006.
이인숙, 「M. 샌들의 공동체주의 연구 - J. 롤즈의 정의론 비판을 중심으로 - 」, 『철학연구』16권,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1993.
조상식, 「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론 중요하다. 그러나 도덕과 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가 되는 관점은 다양하다. 길리건의 따듯한 배려의 윤리가 될 수도 있을 것이고 리코나의 통합적 인격론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이, 즉 정의와 공감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4.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