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압이 지수 함수적인 감소를 보이는 것을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 임의의 점에서 기록되는 전압차
x : 거리
: x=0일 때의 전압차(초기 전압)
λ는 length(혹은 space) constants로서 단위 면적당 세포막 저항(), 단위 길이당의 세포내외의 저항()과 다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7.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포내외의 농도차는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만약에 개체가 죽게 되면 체내 세포들의 막전압은 어떻게 변할까? 결국 우리 몸의 에너지원이 없어지게 되어 active transport를 하지 못하게 되므로 계속된 leakage(passive transport)에 의해 세포내외의 농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3.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복하여 가해보면 불응기는 자극의 강도에 따라 짧아진다. 그러나 최초의 활동전위가 일어나기 시작하면서 약 1mm/sec 동안에는 강한 자극을 가하더라도 다음의 활동전위가 일어나는 일은 없다.
이 기간을 절대불응기라고 하며 이에 이어 불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원
- 등록일 2007.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막전압은 감소되고, 따라서 다시금 나트륨이온의 투과성이 커진다. 한편 칼륨이온에 대한 막 투과성은 증가되지 못하므로 막 내부가 오히려 양성으로 되는 시기가 있다. 이시기 다음에 처음에 커졌던 나트륨의 투과성이 다시 줄어드는 활성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막전압 ) * 활동전압( 전위 )
* Ca+근장효모에서 분비 * Ca+ + troponin
6. 근 수축 에너지
- 근육이 수축하면 어떤 물질은 소모되고, 또 새로운 물질이 만들어진다.
- 근육 수축시에는 ATP, 당원질, 산소 및 유기 인산염 등이 소모되고, 젖산.탄산가스.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7.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