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떤 유혹이나 위협에도 굴하지 않는 참된 용기를
지닌 사람을 맹자는 '대장부' 또는 '대인'이라고 하였다.
성인 군자가 이에 속하며 이와 반대로 감각적·생리적 욕구에 이끌려서
본성(4덕)을 무시해 버리거나 내 버려둠(자포자기)으로써 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사상을 통해서 본 인간의 권리관 유가에서 그리는 이상적인 인간상은 군자이다
2. 유교의 민본사상을 통해 본 인간의 권리관 인간의 권리(인권) 혹은 백성의 권리에 대한 유교사상의 입장은 민본사상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맹자보다 조금 앞섰고 여러 가지 정황면에서 유가의 영향을 받았다. 묵가의 핵심 사상인 겸애(兼愛)사상도 인(仁)사상을 많이 받았단 것을 부인할 수 없다. 다만 유가의 사상을 받아들이는데 그친 것이 아니라 묵가는 유가의 학설을 받아들여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13.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맹자 : 공자의 인사상을 중심으로 내면적 동기와 수양 위주로 주관적 이상주의적 방향으로 발전.
⑤ 순자 : 예사상을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와 구체적 제도를 강조하는 객관적 현실주의적 방향으로 발전.
⇒ 공자의 사상은 학문적으로 큰 영향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자 자로를 [떨어진 삼베조각으로 기운 옷을 부끄러울 것이 없는 사람]이라고 칭찬한 일이 있었다. 맹자에 의하면, 공자는 자기가 옳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미천한 사람과 다투는 것조차 두려워하였으나, [자신을 돌이켜보아도 옳다고 느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