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활자본, 범우사, 1993
Eisenstein, E.L, 전영표 역 / 인쇄출판 문화의 원류, 법경출판사, 1992 Ⅰ. 목판활자(목판인쇄, 목활자)의 개념
1. 목판인쇄 판각 및 박아내는 법
2. 판각과정
Ⅱ. 목판활자(목판인쇄, 목활자)의 종류
1. 서적원자(書籍院字)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손꼽힌다. 이는 자안대사 천해가 1637년부터 1648년까지 11년간에 걸쳐 동경의 관영사에서 개판한 것으로 1,453부 6,323권으로 된 일본 최초의 대장경이다.
이 장경본의 전반은 목활자로 인쇄하고 후반은 목판인쇄로 하였는데, 현재도 당시의 목활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자를 만든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결국 이런 이유로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 인쇄본이 나오수 있었다.
8. 나오는 말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한국의 인쇄는 8세기초에 목판인쇄술을 시작으로 고려시대 금속활자인쇄술로 이어져 조선시대까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활자가 있었으며, 이들의 인본 또한 다양하게 전해 오고 있다.
※ 참고자료
국가기록유산
http://user.chollian.net/~kdhgadin/2-24.htm
http://blog.daum.net/wsadcom/73 - 우성애드컴(주)
한국국학진흥원(조선시대 선비의 삶)
대한인쇄연구소
한국전적인쇄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9.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판인쇄는 주로 주자소와 교서관, 규장각이 담당하여왔다.
Ⅲ 결론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한국의 인쇄는 8세기초에 목판인쇄술을 시작으로 고려시대 금속활자인쇄술로 이어져 조선시대까지 계속적으로 발전하였다. 목판인쇄술은 글자가 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