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3건

어미가 하는 일은 주로 時制(tence)의 범주를 나타내 주는 일이다. (過去時制 : ‘-았 / 었-’, 大過去時制 : 과거시제에 ‘-었-’이 하나 더 결합, 回想時制 : ‘-더-’) 2. 문말어미의 기능 문장 끝에 쓰이는 종결어미, 즉 文末語尾는 크게 두 가지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전통적으로 한자의 훈과 음을 연결시킬 때 사용해 온 ‘-을’의 경우가 그러하다. 예 : ‘검을 현(玄), 넓을 홍(洪)’ 등에서의 ‘-을’은 시제나 서법에 대하여 중립적이다. 1. 문말어미 2. 접속어미 3. 명사화어미 4. 관형화어미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4.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어미는 문말에서의 기능 이외에도 여러 가지 기능을 담당함. (and, because to , if , though 등으로 표현된 것들이 어미 하나로 이루어짐.) -한국어의 어미는 경어법, 시제 등에서의 미묘한 의미차를 별개의 어미들로 표현할 수 있음. . 어미가 극도로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어미와 문말어미 ‘-다’가 붙지 못하는가. (6) 가. 철수는 훌륭한 학생이었다. 나. 내가 꽃을 준 것은 민수에게었다. 다. 내가 영희를 처음 본 것은 그 애 집에서었다. 라. 민수가 좋아하는 사람은 영희를었다. 위의 예문을 보면 (6가)의 경우 이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문말어미를 ‘-지’로 바꾸고, 문말 어미를 ‘아니하-/않-’, 또는 ‘못하-’의 어미로 가져가야 함. 1. 머리말 2. 부정법 2.1. 부정사 종류 2.2. 부정문 범위 2.3. 부정문 종류 3. 부정법 시대별 연구사 4. 부정문 기저구문의 설정 4.1.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18.08.2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