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인권결의안과 미 국무부 인권보고서에 대한 북한 외무성의 반복된 주장.「동아일보」,2006.3.14 참조.
<참고문헌>
이철현. 미국의 악의 축 정책과 한반도 정세. 사회과학논집 제18권
(p.134~150) 2002년
최의철. 북한인권에 대한 국제사회 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5
4. 왜! 6자 회담인가? 17
5. 부시의 딜레마 18
제4절 부시 2기 대북 정책의 변화
1. 산티아고 한-미 정상회담과 한국의 건설적 역할 19
2. 매파적 포용론의 등장 21
3. 미국 협상론 수용인가? 24
4. 딜레마로부터의 탈출 25
제3장 결론 26
|
- 페이지 4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국의 악의 축 정치와 한반도 정세” ,사회자료논집 제 18권, 2002년
이메뉴얼 월러스틴, “악의 축 발언으로 고립 자초하는 미국‘ , 말, 2002년 3월
김진아, “미국의 북한인권법 제정 배경과 의미” , 주간국방 논단, 2004년
정성장, “미국의 북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권문제에 관하여 북한에게 대폭적인 양보 혹은 적절한 압박을 통하여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여야 한다. 경제적, 정치적, 도덕적으로 자신감이 있는 한국이 주도권을 갖고, 북한에 대한 "지렛대" (leverage)와 채널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에 대한 국제적 개입
1) 식량난; 인권 / 국제인권레짐의 활동: 북한인권특별보고관 미국의 북한 인권법 통과
2) 악의 축: 미사일 대량살상무기 확산 실패한 지도자: 레짐 변화
3) 다른 점: 인종청소 등이 자행되지 않는다 질서와 안정이 유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