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1.5
1.5
측정치
12.1
1.9
1.85
2. 고찰
표 5.1 은 1~3까지는 R1과 R2를 고정한 뒤 R3만을 변화시키면서 검류계의 전류가 0일 때 미지의 저항 RX의 값을 찾았다. 4~6까지는 R3은 고정시키고 R2/R1의 비율을 변화시켜 가면서 검류계의 전류가 0일 때 RX의 값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회로에서 떼어내고 저항값을 측 정하여 기록한다.
③ 캐패시터 를 다른값으로 바꾸고 실험과정을 반복한다.
④ 식 을 이용하여 를 구하고 기록한다.
5. Simulation
(1) 미지의 저항 의 측정
브리지에 흐르는 전류가 0이 되면 회로에서 보이는 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값을 가질때 RL에 걸리는 VL 을 측정한다.
③ RL 이 100의 값을 가질때 RL에 걸리는 VL 을 측정한다.
④ 여러 가지 RL 에 대해서 반복한다.
⑤ RL 과 VL 로부터 WL 와 WT 를 계산한다.
6-3 평형 브릿지회로
가. 비례변이 1인 휘스톤 브릿지에서 미지저항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흐르는 전류가 정확히 0인지, 눈금자를 통해 측정한 수치가 정확한지의 문제가 이에 개입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지저항과 미지저항의 값이 크게 차이나지 않을 때, 오차가 생기는 원인은 무엇일까?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우리의 실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값이 작을 때) 훨씬 더 크게 나오기 때문에 오차율에 있어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4] 결론
이 실험의 기본 원리인 Wheatstone Bridge를 이해할 수 있었으며 Wheatstone Bridge 시스템과 기지저항, 그리고 멀티미터를 이용해 미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5.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