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의의 효력을 부정하여 본래의 법정관할법원으로 이송할 수 있다는 것이 통설이다(현저한 손해를 피하기 위한 경우는 사익적 규정이므로 전속적 합의에 구속).
3. 효력의 주관적 범위
(1) 원칙
관할의 합의는 당사자간의 소송상 합의이기 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합의부 심판사항에 해당한다. 법원조직법에서는 사물관할에 대하여 소송목적의 값이 2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합의부 심판사항으로 정하고 있고, 사안의 경우 매매대금은 2억 원이므로 2억 원을 초과하지 아니하지만, 함께 청구한 지연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8,000원
- 등록일 2021.1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할의 종류, 각 관할기준을 알아보라.
2. 당사자적격, 당사자능력, 소송능력의 개념을 설명하라.
3. 소송법상의 당사자의 개념을 소송물에 대한 실체법상의 주체와 관련지어 설명하라.
4. 실체법상의 권리주체가 아닌 자가 당사자적격을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체결·비준에 관하여는 국회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헌법 제60조 제1항). <法史?法理念><법사?법이념>
<憲法> <헌법>
<行政法> <행정법>
<民法> <민법>
<刑法> <형법>
<民事訴訟法> <민사소송법>
<刑事訴訟法> <형사소송법>
<國際法> <국제법>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0.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합의를 조약이라고 한다. 그 명칭은 조약·협정·의정서·규약·헌장·규정·협약·교환공문·합의서·각서 등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批准
조약에 대한 국가의 최종적 확인행위. 조약은 서명에 의하여 그 내용이 확정되지만 보통의 조약은 비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