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 사론을 형성하지 못한 경향으로 비판하면서 사회구성체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구로의 연구활동도 변혁운동의 쟁점과는 거리가 있는 대중역사서 발간이나 개설서 집필에 치중하였다. 또한 역사유물론이 민중사학을 대체하면서 민중사학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학이론에 대한 논의
4) 유용성
Ⅲ. 유물사관(사적유물론)의 수용
Ⅳ. 유물사관(사적유물론)과 민중사학
Ⅴ. 유물사관(사적유물론)의 시대구분 문제
1. 원시공동사회
2. 고대사회의 성격
1) 고대사회에 대한 유물사관적 제견해
2) 백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학
다. 마르크스주의 사학(사회경제사)
라. 실증주의사학
5. 해방 직후 사학사의 전개
6. 1960-70년대 민족사학론
가. 민족주의 사학의 계승
나. 민족문화론(관념)
다. 내재적 발전론(물질)
7. 1980년대 민중사학론
8. 1990년대 다양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학", 푸른역사, 2002.
강만길, "분단시대의 역사의식", 창작과비평사.
이기동, "민중사학론", 일조각.
조동걸, "現代韓國史學史", 나남출판, 1999.
임지현, 이성시,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휴머니스트, 2004
목 차
I. 서론
II. 본론
1-1. 일본의 역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중을 민족해방을 위한 운동으로서, (노동자 농민을 중심으로 지식인, 학생, 청년, 소시민과 민족자본가를 포함하는 민족세력으로 규정하여) 민중의 형성에 계급적 요인보다 민족요인을 강조하는 견해이다. 세째로 일부 소장민중사학론자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