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간과 소멸시효의 구분
1. 조문의 구문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2. 조문에 '시효로 인하여'라고 되어있는 경우는 언제나 소멸시효기간이라고 하고 조문에
그러한 구문이 없으면 제측기간이라고 본다. 1.복대리
I. 복대리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소의 변론주의 때문이다. 제처기간은 당연히 권리 소멸의 효력을 발생시키고 따라서 당사자의 채용이 없어도 법원은 ㄱ직권으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3. 중단의 유무 : 제척기간은 속히 권리관계를 확정시키려는 것이므로 소멸시효와는 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1.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혁
2. 운송의 종류
3. 육상운송인과 해상운송인의 의의
Ⅲ. 육상운송인과 해상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구조.
1. 책임발생원인
2. 책임의 범위(손해 배상액)
3. 책임면책사유.
4. 불법행위책임과의 관계
5. 책임의 소멸
Ⅳ. 끝내는 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교분석
합볍회사와 합자회사 비교분석
자본의 3원칙- 자본확정의 원칙, 자본충실(유지)의 원칙, 자본불변의 원칙
발기인과 정관의 의의
정관의 기재-절대적기재사항
발기설립과 모집설립의 차이
기명주식과 무기명주식 차이
채권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5.0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상194).
2) 10년의 제척기간
불법행위를 한 날로부터 기산한다.
대판 93.7.27. 93다357 제766조 제2항에 의한 소멸시효는 동조 제1항의 소멸시효와는 달리 피해자가 손해의 결과발생을 알았거나 예상할 수 있는가 여부에 관계없이 가해행위로 인한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