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서 계속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 짐승을 가두어 기르던 울타리를 그려놓은 것으로 보아 농사와 어로를 병행할 때인 신석기시대 말기로 추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빛깔있는책들, 『한국의 암각화』, 대원사, 1999.
울산방송편제국, 『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구대 암각화의 가장 위 부분(해발 55.2m)까지 물에 잠기게 된다. 물론 사연댐의 상시적인 담수로 말미암은 수위도 60.0m에 이르므로 반구대 암각화의 거의 대부분은 겨울 가뭄이 계속되지 않는 한 연중 8개월 이상 물 속에 잠긴 상태이다. 때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태화강이 지나는곳에 있는 반구대 암각화는 절벽에서 넓고 평평한 면에 그려져 있다. 그림은 주로 중앙에 집중된 형태를 띠며, 대부분 바다동물과 육지동물로 이루어져 있고, 왼쪽에는 바다고래가 오른쪽에는 육지고래가 위치한다. 고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오늘도 정말 많은 분들이 다녀 가셨지만 반구대 암각화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꼭 한번 들려보시는게 좋으실것 같다. 바로 위쪽에 있는 천전리 각석과 공룡발자국 화석도 함께 볼 수 있으니 한번의 걸음으로 기쁨은 두배가 되지 않을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구대 바위 면에 새겨진 동물들 중에는 고래가 많이 그려져서 특별한 관심을 끌기도 하는데, 이 고래들도 새끼를 밴 것이거나 사냥의 목표물(창을 맞은 고래) 등이 대부분이며 다른 뭍 동물들도 새끼를 밴 모습이 많다. 여기에는 과거 우리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4.07.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