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도지역에 대한 정확한 정의
2절 간도분쟁의 역사적 배경
3절 간도지역이 갖는 이점
4절 각국의 주장에 대한 근거
1.역사적 근거
2.지리적 근거
3.민족적 근거
5절 문제 상황
1.백두산정계비와 간도협약의 유효성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두산 정계비 조작 주장
10. 동북공정의 문제점 및 대응방안
(1) 문제점
(2) 대응방안
① 고구려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남북한 및 국제공조의 필요
② 간도 영유권문제 인식과 간도연구의 활성화 필요
③ 조선족 문제에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도협약의 부당성과 간도영유권문제의 해결방안(중)」,『한국지적학회지』제26권 제1호, 한국지적학회, 2010.
이상태,「백두산정계비 설치와 김지남의 역할」,『역사와실학』제33집, 역사실학회, 2007.
이화자,「대한제국기 영토관과 간도정책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9.0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계비로부터 석을수·두만강으로써 경계를 삼았다.
결국 이와 같은 간도분쟁의 쟁점들은 일본의 책략에 의해 무용지물이 되고 간도를 청에 넘겨주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1712년 목극등에 의해 세워진 백두산정계비를 조약으로 하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도협약의 효력문제, 그리고 통일시 북한이 체결한 국경조약의 승계문제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그 연구를 바탕으로 영유권 주장의 체계적인 논리정리가 필요하다.
최근 동북공정과 그에 따른 연구결과물이 중국에서 대거 출판되어 각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