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도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서술을 하고 영토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교과서에서 영토문제의 부분을 늘려야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간도협약과 을사조약 체결과정을 중심으로 백두산정계비의 설립부터 한, 중 평화 조약까지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도협약의 부당성과 간도영유권문제의 해결방안(중)」,『한국지적학회지』제26권 제1호, 한국지적학회, 2010.
이상태,「백두산정계비 설치와 김지남의 역할」,『역사와실학』제33집, 역사실학회, 2007.
이화자,「대한제국기 영토관과 간도정책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9.0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도지역에 대하여 독자적인 조치를 취하였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불상사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7. 간도협약의 체결
(1) 일본의 개입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대한제국에 대한 장악을 강화하고는 1905년 11월 17일 을사늑약을 체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100원
- 등록일 2008.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두산정계비의 설치 경위
3. 백두산정계비 설치에 따른 후속조치(국경표시로서의 석퇴·토퇴
Ⅸ. 조 · 청간의 국경문제
1. 간도문제의 발단
2. 을유감계회담
3. 정해감계회담
4. 국경회담 이후 조·청의 움직임
Ⅹ. 간도협약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도 협약도 당연 무효가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남북한이 통일되는 날에는 이 국경문제가 다시 거론되어야 할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 중국이 백두산 천지 중심으로 양분된 것은 정계비에 의한 국경협정을 무시해버리고 두만강 국경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