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초상은 함께 적설을 치료한다.
【外治】
외치
田螺
밭고동
(傅[敷]臍。)
전라는 배꼽에 붙인다.
木鱉子
목별자
(同丁香、麝香 貼臍上,虛泄。)
목별자는 정향 사향과 함께 배꼽 위에 붙여서 허증설사를 치료한다.
蛇床子
사상자
(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별자
(炒去油,同桂末,熱酒服,取汗。)
목별자는 밀기울로 볶아서 기름을 제거하고 계지가루와 함께 뜨거운 술로 복용하여 땀을 낸다.
高凉[良]薑
고량강
(脚氣 人晩 食不消,欲作吐者,煎服卽消。)
고량강은 각기로 사람이 저녁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7.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라는 각기가 공주함에 소금과 함께 찧어서 넓적다리 위에 붙이면 곧 안정한다.
木瓜
모과
(袋盛 踏之。)
모과를 주머니에 담아서 밟는다.
蜀椒
촉초
(袋盛 踏之。)
촉초는 주머니에 담아 밟는다.
樟腦 柳華 治鳥巢 蘿蔔花
장뇌, 유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7.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상자를 내 버려 둔 채 내륙으로 달아나 버렸다.
1592년 6월 5일, 전라좌수사 이순신과 전라우수사 이억기, 경상우수사 원균이 지휘하는 오십여 척의 선단은 거제도 주민들로부터 \"일본 함선들이 고성의 당항포에 정박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라충청의 삼남 지방은 외세와 봉건적 수탈이 극심한 지역으로 동학이 급속히 성장하였고 교조신원운동은 교조 최제우의 죄명을 씻고 포교의 자유를 달라는 주장을 했다고 합니다. 척왜양창의는 의병을 일으켜 일본과 서양을 물리치자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1.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