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인의 불법행위능력을 부인하는 법인 의제설에 의하면 비록 정책적인 특별규정(제35조 제1항)으로 법인이 책임을 지게 되더라도 대표기관의 행위는 언제까지나 그 기관 자신의 행위이므로 기관 개인은 자기의 행위에 관하여 스스로 불법행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외하고는 모든 권리능력을 가진다는 전제하에서, 정관의 목적에 의한 제한은 법인의 대표기관이 대외적으로 대표행위를 함에 있어 내부적으로 제한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으로 보는 견해이다.
2. 불법행위능력
제35조[법인의 불법행위능력]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법행위에 관한 일반적 요건을 갖출 것.
1) 주관적 요건
① 대표기관이 책임능력이 있을 것
② 고의.과실이 있을 것
2) 객관적 요건
① 가해행위가 위법할 것
② 손해가 발생할 것
③ 행위와 손해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존재할 것
법인의 불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행위설의 입장이다. 그러나 법인실재설에 의하면 법인의 실체는 사회적으로 실재하는 것이고 그 대표기관 인 이사 등의 행위는 법인 자신의 행위라고 보는 대표행위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⑥ 민법 제35조에 규정되어 있는 법인의 불법행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900원
- 등록일 2015.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그 대표기관만이 일반원칙에 따라 책임을 지게 된다. 그러나 법인의 조직이나 신용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이용해서 행하여지는 불법행위는 타인에게 주는 손해가 큰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민법은 그 사항의의 의결에 찬성한 사원과 이사,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9.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