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치』, 신동준, 예문서원, 2003 A. 한비자의 생애
B. 법치의 이론적 근거
1) 사회역사관
2) 인성론
C. 법치의 내용
1) 법치설(法治說)
2) 술 (術)
3) 세(勢)와 세위(勢位)
D. 법가의 통치사상
1) 치도(治道)관
2) 치본(治本)관
3) 치술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가의 등장
Ⅱ. 법가의 전조(前兆)
① 관중(管仲) ② 자산 (子産) ③등석(鄧析) ④ 이회와 오기
Ⅲ. 법가의 세 파와 한비
① 신도(愼到) [ BC 395~BC 315] ② 신불해(申不害) [ ?~BC 337 ?]
③ 상앙(商鞅) [?~BC 338] ④ 한비(韓非)[ BC 280?~BC 233]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적인 관점으로 부정하지 않고 지극히 개관적인 현시로 인식되었다. 이렇게 어지러운 시대에 강력한 국가권력 즉 군주전제정치만이 당시 시대적인 혼란을 극복할 수가 있는 수단으로 간주하여 법가사상가들만의 독특한 세, 술, 법치론을 주장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사의 몫이고, 넓은 의미에서 나아가 사회 구성원 모두의 몫이 될 것이다.
※ 참고문헌
한비자 덕치에서 법치로 살림출판사 윤찬원 2005
이야기의 숲에서 한비자를 만나다 웅진지식하우스 이상수 2007
한비 이운구 옮김 한길사 2003 없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8.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가사상의 집대성자
순자에서부터 시작된 법가는 한비자에 이르러 예(禮)에 대한 문제는 완전히 법가에서 사라지고 완전한 하나의 법가 사상으로 집대성되게 되었다 1. 선정이유
2. 한비자 소개
3. 한비자의 치국책
4. 마키아벨리와의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8.01.0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