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된다.
그러나 4개월 후 6·25가 터지자, 정부측도 인정할만큼 ‘많은 폐단과 결함이 있었던’ 보도연맹원들은 전국 각지에서 집단 학살당하고 말았던 것이다. 1. [피해자가 죄인이 된 사연]
2. [진상규명 왜 안되나]
3. [정말 좌익이었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살 보도 북한 신문 발견”, 2001. 6. 30
오마이뉴스, “충남 공주, 집단 양민학살 현장 발견”, 2001. 6. 6
정근식, “한국전쟁과 지방사회의 갈등”, 한국전쟁과 한국사회변동, 풀빛, 1992
조성구, “경남전라지역 보도연맹원양민학살의 현장”, 역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살-학살 주체별 분류
사례 1 - 노근리 학살
사례2- 보도연맹
사례3- 인민군에 의한 학살
기타 사례- 거창, 마산, 고양의 학살사건
한국전쟁에서의 학살의 특징과 그 의미
민간인학살의 진상규명운동 과정
황정순 할머니
조직적 은폐, 강요된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도자료’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등, 2007, 『과거사정리 활동평가와 향후 과제』토론회 자료집
김영수, 2011, ‘한국 과거사정리와 국가의 전략’, 『역사연구』 21호
안진, 2003, ‘반민법의 실패요인에 관한 일 고찰’, 『민주법학』 제24호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살(Genocide)의 진상규명을 요구한 유족회에 대하여 5·16쿠데타권력이 군·경에 대한 증오심을 조성케 하고 용공적 사상을 고취하였다고 구속하고 무덤을 파헤친 행위,
) 서중석, 앞의 책2, 788-793쪽
인혁당사건 8명에 대한 학살도 상기할 필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8.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