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활용
앞선 예문들을 통해 보조용언에 대해 살펴 보았을 때 알 수 있는 특징이 하나 있다. 바로 본용언과 보조용언을 띄어 쓰는 원칙이다. 이는 현행 맞춤법 규정 가운데 용언에 관한 규정인 제 47항이기도 하다. 제 47항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1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조 용언인가 아닌가 그것이 왜 보조 용언이 될 수 있는가를 인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문법 교육은 실제 언어생활에 유용한 것이어야 한다. 물론 보조 용언 여부를 판별하는 능력도 띄어쓰기 등 맞춤법에 맞는 국어 생활에 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8.10.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6) 부정 범위 수식 제약
(7) 부사의 수식 제약
(8) 이동 제약
(9) 시제 선어말 어미 제약
(10) 문법적 의미의 획득
4.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 한글 맞춤법
5. 보조 용언의 종류
1) 보조 동사
2) 보조 형용사
-참고문헌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1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조 동사이고, 어미 ‘-아/-어’와 어울려 상태 내지 완료를 나타내면 보조 형용사이다.
보조 동사
보조 형용사
ㄱ. -고 있다(진행) → 자고 있다.
ㄴ. -어 있다(상태) → 떠 있다.
(33)
5. 어문 규정
5.1.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47항 보조 용언은 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가) 적어 놓다/적어놓다, 도와 주다/도와주다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함. 다만 '-아/-어' 뒤에 오는 '지다'는 항상 앞말과 붙여 씀. 문제 [55] 참조.
(나) 학자인 양하다/학자인양하다, 아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7.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