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언 사용 원리를 학습자 스스로 발견하는 원리 중심의 교육 방법으로 보조 용언을 교육하는 데까지 나아갈 필요가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보조 용언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문장을 만들어 예를 들고 본인의 생각을 서술해 보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8.10.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이다. 일반적으로 ‘안’은 부사 ‘아니’의 준말로서 문장 안에서 용언을 꾸며준다. 반면 ‘않-’은 용언 ‘아니하-’의 준말로서 문장 안에서 주로 서술어로 쓰인다. 이처럼 ‘안’과 ‘않-’의 통사적인 기능 차이는 분명하다. 그러나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언이 되어 버린다. 또한, 보조용언은 독립적으로 서술어의 기능을 담당할 수 없으며, 의미에 있어서도 어휘적 의미보다 상이나 양태의 문법적 의미를 가진다. 그렇다면 보조 용언이 쓰인 문장은 단순문의 층위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을 설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1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장의 형성원리 연구, 서울 : 역락, 2000 Ⅰ. 국어 문장성분 주어의 기준
1. 형태론적 기준
2. 통사론적 기준
Ⅱ. 국어 문장성분 주어의 구성
Ⅲ. 국어 문장성분 주어의 확인
Ⅳ. 예기 구자와 주어
Ⅴ. 구동사구문과 주어
참고문헌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넷째, 시상, 양태, 존대와 같은 문법범주가 대개 보조용언에 실현된다. 즉, 보조용언이 없다면 본용언에 덧붙여질 선어말 어미들이 보조용언에 붙는다. 예를 들어, ‘철수는 영희를 만나보았다.’ 라는 문장은 성립하지만 ‘*철수는 영희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