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존형 경계
ㆍ두 판의 이동방향이 서로 반대
→ 두 판이 어긋나는 경계
ㆍ지각의 충돌과 소멸이 일어나지 않음
ㆍ주로 발산형 경계 사이에 존재 - [그림 10]
ㆍ변환단층(transform fault) 형성
ㆍ지진 발생, 화산은 발생하지 않음 1. 대륙이동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2.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계와 같이 지진과 화산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나며 마찬가지로 화산호(volcanic arc)가 형성된다. 대표적인 지형으로는 필리핀 열도와 인도네시아 등이 있다.
4. 보존형 경계
보존형 경계는 두 판의 이동 방향이 서로 반대일 때 나타나는 경계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2.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boundary(변환단층경계)라고도 한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산안드레아스 단층이 그 좋은 예이다. 보존 경계에서는 화산활동은 일어나지 않지만 두 판이 반대방향으로 어긋나므로 접촉면을 따라서 천발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대서양 중앙해령이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지진과 화산활동이 잘 발달한다. 열곡에서도 마찬가지로 좁고 긴 골짜기 양 측에 정단층이 발달한다.
3. 수렴형 경계
수렴형 경계는 두 판이 서로 충돌하는 지역에서의 경계를 의미한다. 수렴형 경계에서는 두 판의 횡압력으로 인해 역단층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2.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계에서 일어나는 화산활동의 경우, 지각 판이 섭입대로 내려가면 온도가 증가하고 탈수작용에 의해 판 끝의 지각과 퇴적물로부터 유체가 빠져나오게 된다. 이러한 유체는 지표로 이동하면서 이동경로 주변에 있는 맨틀과 지각성분을 용융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6.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