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식
⑶ 원문 및 현대어 풀이
1. 예경제불가
2. 칭찬여래가
3. 광수공양가
4. 참회업장가
5. 수희공덕가
6. 청전법륜가
7. 청불주세가
8. 상수불학가
9. 항순중생가
10. 보개회향가
11. 총결무진가
Ⅲ. 결론
- 보현십원가의 국문학적 의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적용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1.서동요
2.혜성가
3.풍요
4.원앙생가
5.모죽지랑가
6.헌화가
7.원가
8.제망매가
9.도솔가
10.찬기파랑가
11.안민가
12.천수대비가
13.우적가
14.처용가
15~25.보현십원가(11수)
26.도이장가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현십원가는 구체적으로 사뇌가 장르에 속하는 것이며 삼구육명은 곧 사뇌가의 시형을 지적한 말이다. 「향가의 문학적 해석」, 최철, 1990.
<句>라는 한‘자의 뜻에 대해서는 시경(詩經)이라는 중국 고전 문헌 가운데 관저장의 주 아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천수관음가>라고도 부른다.
우적가-신라 원성왕 때 영재가 지은 10구체 향가
처용가-신라 헌강왕 때 처용이 지었다는 8구체 향가
보현십원가-고려 광종 연간에 승려 균여(均如)가 지은 10구체 향가로 11수가 있다.
결론
출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해서 논의가 전개되어 오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현재는 조윤재 선생이 신라의 서울이었던 사뇌야(詞腦野) 지방에서 주로 유행한 사뇌가가 10구체의 형식에서 응결(凝結)되었으니 그 내용은 불교적이며, 주로 화랑과 승려 등 귀족 계층에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