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여지는 모두 건조한 약성에 속하므로 사용함에 증상을 짐작함이 의당하니 용안육처럼 약성이 주로 온화하여 자질이 더욱 심함이 많음만 못하다.
出建者良。
복건에서 산출된 여지가 좋다. 용안육 대조 여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조지감하여 이보부족하고 계강지신으로 이익정기하니라.
이는 인삼 감초 대추의 감미를 사용함으로써 부족을 보하고, 계지 생강의 신미로써 정기를 더한다.
<本草>에 云 補可去弱이 是也라.
본초에 운 보가겁약이 시야라.
본초책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문에서 말하길 양이 없으면 음이 생길 수 없고, 음이 없으면 양이 변화할 수 없으므로 기를 보함에 인삼을 사용하며, 혈허에도 또한 인삼 사용이 마땅하다.
非若黃耆 性稟純陽, 陰氣少, 而於火盛血燥不宜。
인삼은 황기가 성품이 순양을 받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明, 象類君子, 有過必知。
비록 혹은 잘못 사용하면 조금 왕성한 기를 맑게 하며 복용하면 잠깐 편안함을 얻으니 인삼의 약품이 양명을 받아서 형상이 군자와 유사하여 과실이 있으면 반드시 앎음만 못하다.
(陽藥性劣, 於病不合便知。)
양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許學士云: 後汗多則大便秘, 難於用藥, 惟麻子粥最穩。)
허숙미가 말하길 산후에 땀이 많으며 대변이 변비이면서 약을 쓰기 어려움에 오직 마자인죽이 가장 온당하다.
(不惟後可服, 凡老人諸虛風秘, 皆得力也。)
산후에 마자인을 복용할 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